오늘은 엑셀배관자재 종류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
엑셀부속은 엑셀파이프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배관부속품인데요.
파이프를 연결할 때 어떤 배관부속을 사용해야 하는지 궁금하시다면
읽어보시기 바랍니다.


엑셀배관부속은 엑셀파이프를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.
다른 재질의 파이프와는 연결이 어려운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.



규격

규격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.
많이 사용되는 규격은 가정용 수도배관인 15A와 난방배관인 20A지만,
이 외의 규격도 많이 출시되었습니다.
A는 보통 부속의 내경을 의미합니다.


규격은 대부분 같은 사이즈로,
위 규격표를 확인 후 맞는 제품을 찾아보시면 됩니다.



엑셀 발소와 속발소


먼저 발소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

발소는 밸브소켓의 줄임말로, 겉나사와 속나사에 따라 CM과 CF라고도 부릅니다.
남성/여성을 뜻하는 Male / Female이 합성된 단어입니다.


왼쪽이 발소, 오른쪽이 속발소입니다.

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 발소는 나사의 홈이 밖으로 나와 있습니다.
한쪽은 겉나사, 한쪽은 파이프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부속입니다.


속발소는 나사의 안쪽이 파여 있습니다.
한쪽은 속나사, 한쪽은 파이프를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.



엑셀 엘보


순서대로 양엘보, 단수전엘보, 장수전엘보입니다.


왼쪽이 겉엘보, 오른쪽이 벽고정엘보입니다.


엘보는 방향 전환 목적으로 사용합니다.
90˚로 꺾을 수 있는 엘보와 45˚로 꺾을 수 있는 엘보 등 다양한 각도의 전환이 가능합니다.
대부분은 90˚로 꺾을 수 있는 엘보를 사용합니다.


양엘보 : 양쪽에서 배관 연결
단수전엘보 : 한쪽은 속나사, 한쪽은 배관 연결 (길이가 짧음)
장수전엘보 : 한쪽은 속나사, 한쪽은 배관 연결 (길이기 긺)
겉엘보 : 한쪽은 겉나사, 한쪽은 배관 연결
벽고정엘보 : 한쪽은 속나사, 한쪽은 배관 연결. 벽에 고정할 수 있음.



엑셀 유니온


왼쪽은 유니온, 오른쪽은 이경유니온입니다.


유니온은 겉나사와 속나사, 유니온 너트로 이루어져 있으며
나중 보수를 위해 분리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.

양쪽에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데,
유니온은 같은 규격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사용하고
이경유니온은 사이즈가 다른 파이프를 일자로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.



엑셀 티


왼쪽이 삼방티, 오른쪽이 속티입니다.


왼쪽이 이경삼방티, 오른쪽이 이경속티입니다.


티는 백티라고도 하며, T자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.
관을 한 방향이 아닌 두 방향으로 나눌 때 사용합니다.
세 구멍의 내경이 모두 같으면 티, 다르면 이경티라고 합니다.


삼방티 : 파이프를 T자로 연결
속티 : 가운데 속나사, 양쪽에 배관 연결
이경삼방티 : 사이즈가 다른 배관을 세 방향으로 연결
이경속티 : 가운데가 규격이 다른 나사, 양쪽에 배관 연결



엑셀 캡, 메꾸라


왼쪽이 캡, 오른쪽이 메꾸라입니다.


캡과 메꾸라는 마감용으로 사용합니다.
티를 사용할 때 한 쪽 부분을 쓸 일이 없을 경우 막아주는 용도입니다.
캡은 파이프를 막을 때, 메꾸라는 수도배관을 임시적으로 막을 때 사용합니다.




밸브


밸브는 물을 잠그거나 틀 수 있습니다.
보통 커플링밸브와 레바햇다밸브, 볼밸브로 나뉩니다.


커플링밸브



양쪽으로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니온과 비슷하지만
밸브를 통해 물을 잠그거나 틀 수 있습니다.



레바햇다밸브


레바겉햇다밸브(왼쪽) / 레바속햇다밸브 (가운데) 레바햇다밸브-퇴수형 (오른쪽)


레바햇다밸브의 어원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레버헤드밸브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입니다.


레바겉햇다밸브 : 한쪽은 겉나사, 한쪽은 파이프 연결할 때 사용
레바속햇다밸브 : 한쪽은 속나사, 한쪽은 파이프 연결할 때 사용
레바햇다밸브(퇴수형) : 한쪽은 겉나사, 한쪽은 파이프 연결할 때 사용, 퇴수 가능



볼밸브


볼밸브 (왼쪽) / 암수볼밸브 (오른쪽)


파이프를 연결하지 않고 나사를 연결해 사용하는 밸브입니다.


볼밸브는 양쪽이 속나사로 구성되어 있고
암수볼밸브는 한쪽은 겉나사, 한쪽은 속나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
이 외에도 비슷한 기능으로 나비햇다밸브가 있습니다.
레바햇다밸브와 기능은 같지만, 레버가 아닌 나비 모양으로 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.



< 철물마켓 스마트스토어 >